인구 감소+고령화, 일본 산업계에 어떤 충격 왔나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인구 감소+고령화, 일본 산업계에 어떤 충격 왔나

글 : 최인한 / 시사일본연구소장, 일본 전문 저널리스트 2024-09-05




일본 인구는 2023년에 86만1237만 명이 줄어든 1억2156만 명으로 집계됐다. 인구는 15년 연속 감소했으며, 감소 폭도 1968년 조사 개시 이후 최대였다.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의 장래 추계 인구에 따르면 총 인구는 2070년에 8700만 명, 2120년께 5000만 명선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지난 2020년에 여성 절반이 50세를 넘었고, 올해는 전 국민의 3인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자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일본 사회와 산업 구조에 대변화를 몰고 왔다. <미래 연표, 업계 대변화>(가와이 마사시, 河合雅司 저)는 인구 감소 시대를 맞은 일본의 제조, 금융, 자동차, 물류, 유통 등 업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 인구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인구감소대책종합연구소 이사장과 고치대학 교수 등을 맡고 있는 가와이 씨가 쓴 베스트 셀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인구 감소로 일어난 일본 사회 변화상


일본 인구 감소가 공식 확인된 것은 2015년 발표된 ‘국세조사(國勢調査)’에서다. 당시 총 인구는 약 1억2709만 5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96만3000명 줄었다. 1920년 첫 인구 조사 이후 100여년 만에 첫 감소였다. 그 이듬 해인 2016년에는 연간 출생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선 아래로 떨어져 98만1000명에 그쳤다. 이런 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50년, 100년 뒤에는 오싹할 정도로 일본인이 줄어든다. 일부에서 ‘일본 소멸론’까지 나오는 배경이다.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에 따르면 2015년 1억2700만 명인 일본 총 인구는 40년 뒤 9000만 명을 밑돌고, 100년 안에 5000만 명 정도로 준다. 가와이 마사시는 “일본인들은 긴 인류사에서 봐도 매우 특이한 시대를 살고 있다”고 진단한다. 저자는 일본이 맞닥뜨린 인구 이슈를 4가지로 꼽는다. (1) 출생자 수 감소 (2) 고령자 급증 (3) 근로 세대(20~64세) 격감에 따른 필수 인력 부족 (4)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발생하는 ‘인구 감소’이다. 이들 요인에 근거해 전망한 ‘일본의 미래’는 충격적이다. 


가장 임박한 사회 이슈는 ‘2025년 문제’다. 인구 비중이 높은 단카이 세대(1947~1949년에 태어난 일본 베이비 붐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큰 병을 앓는 사람이 급증해 사회 보장비가 급증하고, 의료시설 및 가이고(노인 간병) 시설이 부족해진다. 이에 따라 더블 케어(육아 및 가이고를 동시에 맡음)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오는 2024년에는 사망자 수가 급증해 화장장 부족에 빠지게 된다. 고령자 수가 정점에 이르는 2042년께 무연금, 저연금 빈곤층 고령자가 거리에 넘쳐날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보호 대상자(수급자)가 급증하며, 국가 재정의 파탄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게다가 저출산(小子化) 현상으로 경찰관, 자위대원, 소방수 등 젊은이를 필요로 하는 업무에서 인원 확보가 더 어려워진다. 젊은이가 적어지면, 국방 치안 방재 기능이 약해져 사회 파탄에 이르게 된다. 지금 추세대로 인구 감소 가 이어질 경우 2050년께 일본 국토의 20% 지역에서 거주민이 사라진다.   




인구 감소로 내수시장, 3중 축소 예상


인구 감소 여파로 일본 내수시장은 3중 축소를 겪게 된다. 3중 축소는 ∆ 국내 수요 축소  ∆소비자 고령화에 따른 소비량 축소 ∆가처분 소득 축소를 지칭한다. 이럴 경우 내수 의존도가 높은 일본 기업들은 큰 어려움 봉착할 가능성이 크다. 


저자는 <미래 연표, 업계 대변화>를 통해 3중 축소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극 분산(多極分散)’이 아닌 ‘다극 집중(多極集中)’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인구 감로 인해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인적이 드물어지기 때문에 국토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은 ‘다극 집중’이라는 지적이다. 전국 곳곳에 분산된다 해도 기업이나 젊은이, 소비자들이 특정 거점을 중심으로 모여야 효율성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2030년, 백화점∙ 은행이 사라진다


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은 생활에 필수적인 장소에서부터 나타났다. 고객들이 줄어들며 문을 닫는 백화점들이 잇따르고 있다. 2020년대 들어 일본 전국에서 매년 10개 이상씩의 쇼핑몰이 사라졌다. 오는 2030년에 대형 쇼핑몰이 유지되는 곳은 극소수에 그칠 것이라는 게 저자의 예측이다. 장기적으로 지방에서는 기존 상점가가 괴멸되고, 쇼핑몰이 폐점되는 미래를 그려볼 수 있다. ‘미래연표’에 따르면 2030년이 되면 백화점, 은행, 노인홈 등이 작은 지방부터 사라지고, 도쿄에서도 고령자 급증으로 수술을 받으려면 6개월을 기다리는 사태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감소에다 202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확산된 재택 근무로 철도산업도 대전환기를 맞았다. 지역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철도 이용자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도쿄도의 경우 철도 이용자가 오는 2040년에 2018년보다 6.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철도회사들이 인구 감소에 대응하고 있지만, 대도시권의 통근 노선은 전환점에 서 있다. 지금까지는 교외로부터 도쿄 도심 근무지까지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량 수송하는지가 초점이었다. 통근에 편리한 장소의 땅값이 오르고, 교외로 도시의 비대화가 진행돼 온 배경이다. 


고령화도 철도산업에 영향을 준다. 도쿄, 오사카 등 대도시 근교 위성 도시에서 75세 이상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노인들이 교외 자택에서 노후를 보내기 때문이다. 재택 근무 증가로 위성 도시에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현역 세대도 늘어났다. 위성 도시의 역할이 ‘베드타운’에서 ‘업무, 취미, 생활도 즐기는 거리’로 바뀌고 있다.      


철도, 자동차, 건설 산업 타격


인구 감소 지방을 중심으로 주유소 폐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 전기 충전소와 수소 충전소도 예외가 아니다. 인구가 급감하는 곳에서는 충전소들이 수익을 내고 매장을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 수익을 유지할 수 있는 이용자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전기나 수소 충전소가 생존하긴 어렵다. 


전기 및 수소 충전소 업계에 또 다른 악재도 있다. 가솔린 자동차가 사라지기 전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가솔린자동차와 전기차, 수소차가 공존하는 시대가 상당 기간 이어지겠지만, 가솔린자동차 수요는 조금씩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감소 지역에서 주유소가 빠르게 사라지는 반면, 전기차 충전소가 급속히 늘지 않아 차량용 에너지 충전에 어려움을 겪는 시대가 올 가능성이 크다. 저자는 “일본 국내 자동차시장 축소가 인구 감소 보다 더 빨리 진행될 것” 이라며 “일본은 자동차산업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고용 등 경제에 미칠 악 영향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건설업체들은 미래 수요 감소를 어느 정도 감안해서 사업 계획을 짜야할지를 고민 중이다. 인구는 도로 건설, 빌딩 및 상업시설 건설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국토교통성에 따르면 건물 및 건축물의 생산량을 뜻하는 ‘건설 투자’는 1992년에 약 84조 엔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감소세로 돌아서 2021년 58조4000억 엔으로 줄었다. 전성기와 비교해 30.5% 감소한 규모다. 생산연령 인구(15~64세)가 피크를 맞은 해가 1995년이기 때문에 건설투자는 생산연령 인구 감소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건설업계에 악재만 있는 건 아니다. 사회 인프라의 상당 부분이 고도 경제 성장기 이후 정비된 시설이어서 노후화에 따른 개∙보수가 시급한 실정이다. 전국 72만 곳의 도로 교량의 경우 건설 후 50년이 지난 시설 비율이 오는 2029년에 52%에 이를 전망이다. 터널, 항만 안벽, 수문 등도 대규모 보수가 필요하다.   




기업, 확대 노선 버리고 ‘전략적 축소’ 전략 써야


가와이 마사시는 출생자 수 감소와 인구 축소를 피할 수 없다면, 그 것을 전제로 사회 구조를 바꾸라고 강조한다. 기업들은 확대 노선으로 성장해온 기존 성공 체험과 결별하고, ‘전략적 축소’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이나 기관들은 고통이 동반되는 대대적인 구조 개혁이 불가피하다. 


‘미래연표’는 인구 구조적으로 고령자 수가 최대에 이르는 ‘2042년 문제’가 터지기 전에 대책을 서두르라고 제언한다. 일본 인구를 다시 늘리는 것이 어렵다면, 인구 감소를 전제로 사업 계획을 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본은 주요 산업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버릴 것은 버리고, 남길 것은 남겨야 한다” 며 “생산량, 노동자, 소비자도 함께 급감하는 일본이 살 길은 ‘고품질 제품’을 ‘고부가 가치’를 얹어 파는 모델”이라는 게 저자의 결론이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이름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 신규 이메일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