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투자하기 전 스스로 물어봐야 할 3가지 질문
글 : 김동엽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2024-05-06
2022년 말 기준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적립금의 83.3%,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의 72.7%가 정기예금 등 원리금보장 상품에 맡겨져 있다. 또 지난해 말 기준 디폴트옵션 상품 가입자 중 88%가 초저위험 상품을 선택했고, 적립금 중 90%가 초저위험 상품에 맡겨져 있다.
퇴직연금 적립금을 이렇게 운용해도 될까. 대답은 그리스 신화 이카루스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아들 이카루스와 지중해 크레타 섬에 갇힌 다이달로스는 섬에서 탈출하기 위해 새 깃털을 밀랍으로 붙여 날개를 만든다. 다이달로스는 아들에게 날개를 달아 주며 “너무 높이 날지 말라”고 당부한다. 높이 날아 태양 가까이 가면 밀랍이 녹아 추락하기 때문이다. 이카루스는 아버지의 경고를 무시하고 높이 날아오르다 떨어져 죽는다. 다이달로스는 “너무 낮게 날아서도 안 된다”고도 경고한다. 수면에 인접해 낮게 날면 습기로 인해 깃털이 무거워져 추락하기 때문이다. 다이달로스가 이카루스에게 한 당부는 연금자산을 운용할 때도 참조할 만하다.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고 고수익을 추구하다 큰 손실을 입는 것도 위험하지만, 수익률 향상을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원금 보존에 치중하면 또 다른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원금 보장에 집착하다 임금상승률이나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치는 수익률을 내면 연금자산의 실질가치가 떨어진다. 문제는 대다수 연금 가입자들은 전자의 위험은 두려워하면서 후자의 위험은 간과한다는 데 있다.
● 정기예금 수익률이면 만족하는가
먼저 목표수익률을 정해야 한다. 같은 날 입사한 동기도 목표수익률은 다를 수 있다. DC형 퇴직연금 가입자들은 적어도 임금상승률 이상 수익을 내야 손해가 아니라고 한다. 그래야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거나 DB형 퇴직연금에 가입했을 때만큼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 정기예금 정도 수익을 얻으면 만족하는가. 그렇다면 원리금보장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퇴직연금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원리금보장 상품으로는 정기예금, 이율보증보험(GIC) 등이 있다.
원리금보장 상품을 선택할 때는 만기와 금리를 함께 살펴야 한다. 만기가 길수록 높은 금리를 주지만, 중도에 해지하면 약정한 금리를 받지 못한다. 만기 관리를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 디폴트옵션 상품을 정해 뒀다고 안심할 일은 아니다. 만기 후 6주가 지날 때까지 가입자가 운용 지시를 하지 않으면 그제야 디폴트옵션이 적용된다. 디폴트옵션이 적용될 때까지 만기상환금액은 현금성 자산으로 남아 낮은 금리로 운용된다.
● 스스로 투자 관리를 할 수 있는가
치솟는 물가와 임금인상률을 고려하면 원리금보장 상품이 제공하는 수익이 성에 차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는 스스로에게 제대로 된 투자 관리를 할 시간, 경험, 역량이 있는지 물어야 한다. 그게 가능하면 DIY(직접 해보기·Do It Yourself) 방식을 택하면 된다. 투자할 상품을 고르고, 투자 비중을 정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시장 상황에 맞춰 투자 상품을 교체하고 투자 비중을 조정해 나가는 것이다. 하지만 직장인들 중에 이 같은 일을 알아서 척척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투자 경험과 역량이 부족할 수도 있고, 경험과 역량을 갖췄다 해도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투자 역량과 시간이 부족하다면 그에 적합한 금융상품을 고르면 된다. 처음 상품을 고를 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더라도, 일단 가입하고 나면 관리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금융상품이 적합하다. 이 같은 유형의 투자 상품으로는 자산배분형 펀드가 있다.
● 위험자산 비중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자산배분형 펀드란 투자 위험이 상이한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고, 금융시장 상황과 자산가치 변동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자산 편입 비중을 조정해 주는 펀드다. 자산배분형 펀드를 선택할 때는 주식 등 위험자산 비중과 한도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연금과 같은 장기투자의 투자 성과는 대부분 자산배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투자 기간 일정하게 자산 비중을 유지할 것인지, 은퇴 시점에 맞춰 위험자산 비중을 줄여 갈 것인지도 정해야 한다. 전자를 원한다면 밸런스드펀드(Balanced Fund)를 선택하면 된다. 밸런스드펀드는 위험 자산을 얼마까지 편입할 수 있느냐에 따라 고위험·중위험·저위험으로 나뉜다. 따라서 자산의 위험허용 수준에 맞는 것을 고르면 된다.
후자를 원하는 사람은 타깃데이트펀드(Target Date Fund·TDF)를 선택하면 된다. TDF는 목표 시점에 맞춰 주식과 채권 비중을 알아서 조정해 주는 금융상품이다. 목표 시점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을 때는 위험자산 비중을 높게 가져가지만, 목표 시점이 다가올수록 위험자산 비중을 알아서 줄여 나간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다양한 고객 상담과 교육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은퇴 교육 분야의 전문가. 주요 저서로는 『스마트 에이징』, 『인생 100세 시대의 투자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