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 20년차의 고백,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귀촌 20년차의 고백,

글 : 김용전 / 작가 2023-08-25



 지난 회 글에 자연인 이야기를 했더니, 칼럼 담당자가 필자의 실제 귀농 경험 이야기를 해달라고 해서 그리 모범적인 사례는 아니지만, 귀농을 꿈꾸는 은퇴자나 은퇴 예정자들에게 작은 도움이나마 될 것 같아서 내 지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우선 귀농을 생각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용어의 개념 정립이다. 귀농이 요즘 대세이다 보니 너도나도 ‘은퇴하고 나서는 시골로 가서 농사나 짓고 살지 뭐’라고 막연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그렇게 하면 후환이라고 표현하기엔 좀 그렇지만 시간이 흐른 뒤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보면 내가 사는 동네에 나보다 늦게 귀농한 은퇴자 형님이 한 분 있는데, 60에 우리 마을로 내려왔다. 그런데 농사에 대한 의욕이 강해서 땅을 약 2천 평 가까이 사서 전원주택도 멋지게 짓고 각종 농사도 알차게 지으며 살았다. 절대 농지에는 집을 지을 수 없지만, 농업인이라는 증명서인 농지 원부가 있으면, 2백 평 정도의 농지를 대지로 전용해서 집을 지을 수 있으므로 이 형님의 경우 대략 나머지 천 팔백 평 정도를 농사지으면 살아온 것이다. 성격이 치밀해서 농사도 아주 알차게 지었기 때문에 주변의 칭찬이 자자했는데 그게 오히려 독이 됐다. 즉 지나치게 농사일에 몰두하다 보니 10여 년이 지난 지금은 허리가 많이 상해서 병원 출입을 밥 먹듯 하며 아주 괴로워한다. 그래서 농사를 작파하고 다시 도시나 읍내로 나간다고 몇 해 전부터 땅을 내놓았는데 생각처럼 쉬이 팔리지 않고 있다. 자식들보고 너희들이 맡아서 주말농장처럼 틈틈이 농사지으라고 했더니 ‘우리가 쥐약 먹었어요’라며 외면한다. 상당한 돈을 들여서 땅을 사고 집을 지었으며 그동안 들인 공이 있으니 내팽개치고 나갈 수도 없어서 날마다 아픈 허리를 부여잡고 고민 중인데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바로 귀농이라는 용어의 모호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호성이라는 게 무슨 말인가 하면 귀농(歸農)이라는 낱말은 ‘농사로 돌아간다’와 ‘농촌으로 돌아간다’라는 두 가지 뜻이 혼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류가 생기는데 이를 방지하려면 농촌으로 돌아간다는 말은 정확하게 ‘귀촌(歸村)‘이라 표현해야 한다. 그러면 귀촌의 경우, 시골로 가서 사는 게 목표이므로 농사에 방점을 두지 않으며, 그 형님도 귀촌이 목표였으므로 농지를 과다하게 살 필요가 없었다. 혹시 독자 중에 ’아, 땅은 다른 사람한테 임대주면 될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는데 잘못이다. 왜냐면 문제는 땅이 아니라 그동안 망가진 몸이기 때문이다.




 대략 은퇴자들은 농사로 생계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이 점을 잘 생각하라고 권하며 다음은 어디로 가서 살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원래 시골 출신이라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은 게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와 비슷하다. 즉 고향으로 돌아온 예수를 보고 사람들이 ’아니 저 친구는 목수 요셉의 아들이 아닌가‘ 하며 그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물론 귀촌 20년 차인 필자의 견해로는 그래도 고향으로 가는 게 가장 좋다고 보는데, 어쨌든 그러지 못할 처지라면 어디로 갈 것인가? 이 문제는 조선 숙종 시대 사람인 이중환이 쓴 ’택리지(擇里志)‘를 보면 많은 도움이 된다. 그 책은, 은퇴자가 아니라 속세를 버리고자 하는 사대부가 어디로 갈 것인가를 다뤘기 때문에 개념은 오늘날의 ’자연인‘에 더 가깝지만, 귀촌 희망자에게도 하나의 틀을 제공해준다. 거기에 보면 살 곳을 정하는 기준으로 ’지리(地理). 생리(生利), 산수(山水), 인심(人心)‘ 이 네 가지를 들고 있는데 아주 유용하다. 지리는 거주지가 너무 외지거나 음습한 곳은 안된다는 것이고 생리는 경제적 측면에서 뭔가 수입을 낼 수 있느냐인데 앞에서 말했듯이 농사로 먹고살려는 게 아니라면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다만 은퇴자가 아닌 사람이 그야말로 귀농을 목표로 한다면 중요한 요소다. 산수는 쉽게 말해서 풍광이 좋으냐 하는 건데 귀촌에서는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아무리 좋은 풍광도 몇 년이 지나면 심드렁해진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마지막 요소인 인심이 중요해지는데 이는 쉽게 말해서 이웃에 좋은 사람들이 사는가이다. 아무리 경치가 좋고 물과 공기가 맑아도 고약한 이웃을 만나면 여유롭게 살고자 택한 삶이 한순간에 지옥이 된다. 이웃이 좋은 사람들인가를 확인하는 길은 같이 지내보는 방법밖에 없으므로 땅을 사고 집을 짓기 전에 일단 임시로 빌려서 반년 내지 한 해를 먼저 살아볼 것을 권한다. 급히 먹는 밥이 목멘다는 속담처럼, 귀촌해서 살 곳은 너무 서두르면 안 좋다. 왜냐면 한번 눌러앉으면 그 형님처럼, 되돌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이름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 신규 이메일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