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호]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라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54호]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라

글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2022-03-08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최근 10년간 퇴직·은퇴 동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정년을 크게 밑도는 50세 이전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6~70대까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된 일자리 퇴직 시 평균 근속기간은 10년 전보다 1년 짧아졌습니다. 퇴직사유 중 정년퇴직 비중은 10% 선 아래로 떨어진 반면 비자발적 조기퇴직 비중은 40%를 넘어섰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퇴직 시점은 빨라지고 있고, 이로 인한 근로소득 공백 및 생애주기 적자를 메우기 위해 경제 활동을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이른 퇴직과 경제 활동의 연장으로 다른 나라와 달리 3단계의 점진적 은퇴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그 과정은 1)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 2) 생애주기수지 적자전환, 3) 실질 은퇴의 3단계로 이뤄져 있습니다. 퇴직·은퇴와 관련한 각 단계에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 55~64세 연령층의 주된 일자리 퇴직 연령은 평균 49.3세, 평균 근속기간은 12.8년(2021년). 정년퇴직 비중 하향세와 함께 비자발적 사유에 따른 조기퇴직 증가세, 예상보다 이른 퇴직에 대비할 필요성 증대.


② [생애주기수지 적자전환] 소비 지출액이 근로소득을 넘어서는 나이인 생애주기수지 적자전환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19년 60세로 상승. 주된 일자리 퇴직 후 대체 일자리에서의 경제활동 지속으로 실질 은퇴 지연.




③ [실질 은퇴]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실질 은퇴 연령은 평균 72.3세(2018년),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공식 은퇴 연령(62세)와의 차이는 10.3년, 각각 OECD 국가 중 가장 길다. 실질 은퇴가 점차 늦어지는 추세, 경제적 노후준비 부족 상황 지속.

노후의 생애주기 적자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청장년기 소득의 일부를 꾸준히 적립해 개인적으로 연금자산을 마련하는 한편, 이·퇴직시 발생한 퇴직급여는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서 가급적 장기간 운용, 축적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고서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은퇴연구소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구독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 이름
  • 연락처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뉴스레터 구독 정보변경’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정보변경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