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는 외로운 죽음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소리 없는 외로운 죽음

글 : 양준석 / 한림대 생사학연구소 연구원 2021-10-25



어떻게 지내세요?”

잘 지내요.”


사람들을 만날 때 자주 묻고 듣는 말 중의 하나이다. 묻는 사람도 대답하는 사람도 으레 하는 말이지만 뭔가 씁쓸한 뒷맛이 남는다. 그러다 요즘 외롭지 않아요?”라고 다시 물으면 항상 외로웠지요.”라는 대답이 돌아오면서 말끝에 침묵이 흐르곤 한다. 처음 듣는 말도 아닌데, 이상하게도 외롭다는 말은 들을 때마다 먹먹해진다. 어떤 말로 위로를 해야 할지 상대의 마음을 함부로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일 터이다. 침묵의 어색함을 말로 메우려고 할 바에야 차라리 침묵 속에서 지금 우리가 함께 하고 있다는 존재적 공감을 느껴보려고 한다.




우리는 모두 근원적으로 홀로 있는 존재이다. 관계 상실을 경험할 때마다 번번이 근원적 고독(original solitude)’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기에 새로운 관계를 통해 고립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그래서 홀로 죽어감 앞에서는 그저 고개가 숙여지고 침묵하기 되는가 보다.



최근 언론 등에 고독사(孤獨死)’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고독사는 고립사(孤立死)’, ‘무연고사(無緣故死)’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면밀히 살펴보면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 고독사는 사망 시점에 홀로 사망했으며 일정 기간이 흐른 뒤에 발견된 죽음이고, 고립사는 사회안전망의 부재가 초래한 사회적인 고독사를 말하며 무연고사는 장례 시점에 연고자가 없거나,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거부한 경우를 말한다.


고독사든, 고립사든, 무연고사든 중요한 점은 죽어가는 과정에서나 죽은 이후에 그와 함께 하거나 기억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이른바 애도 되지 않는 죽음이다. 최근 우리나라 통계지표를 보면 고독사한 사람이 20161,820명에서 20192,536명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0년 무연고 사망자 수는 2,880명이라고 한다. 20201인 가구가 616만 명으로 전체가구의 30퍼센트를 기록해 인구통계학상 앞으로 더 확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2019년부터 시작된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시대가 가속화되면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고독사의 위험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고독사를 양산하는 원인으로 개별화, 고령화, 빈곤화를 손꼽는다. 이 중에서도 개별화는 가족, 친척 등이 함께 했던 집단적 애도문화에서 개인주의적 애도문화로 죽음의 형태가 급격히 바뀌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기다움’, ‘자기중심성을 강조하며 집단과 조직에서 맺는 관계의 중요성은 상대화되고 가족, 친구, 동료 등도 잠시 모여 있는 집성주의상태로만 의미가 있을 뿐 전통적인 유대관계가 약해져가는 무연(無緣) 사회를 향해가고 있기 때문일 터이다. 또한 우리 사회 심층에 자리 잡은 수치심문화와 짐스러움에 대한 생사관도 고독사에 한 몫을 더하고 있다. 자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식에게 부담주고 싶지 않다거나 자식에게 부탁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홀로 죽음을 맞이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한 인간의 죽음은 개인적인 사건인 동시에 사회적인 사건이다. 어느 사회든 상장례를 통해 고인의 삶을 추모하고, 살아 있는 사람들은 자신 또한 죽어갈 운명임을 자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사회에서도 202141일부터 고독사 예방법이 시행된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물론 죽어가는 사람의 존엄성과 더불어 생사관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이다. 관계의 단절이 일상화되는 사회에서 죽음마저 단절되는 고독사의 의미를 묵직하게 되새겨본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이름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 신규 이메일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