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에는 셀프 칭찬, 이렇게 해봐요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새해에는 셀프 칭찬, 이렇게 해봐요

글 : 한혜경 / 작가, 前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2024-01-10

external_image


엊그제 모임의 대화 주제는 ‘존재감’이었다. 누구라도 존재감의 문제로 고민하겠지만 은퇴자들은 더 심한 것 같다. 이해는 간다. 현역일 때는 가족이나 회사 안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자부심이 있었는데, 은퇴하고 나니 나를 알아주고, 나를 만나고 싶어 하고, 밥 같이 먹자고 하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것 같으니 ‘나의 존재 의미는 무엇일까?’ ‘내가 과연 필요한 존재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것이다. 연예인이 아닌 이상 ‘미친 존재감’을 발휘할 필요까지는 없겠다. 하지만 누군가, 단 몇 명이라도 이 세상에 내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느낌을 주는 사람이 꼭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문제는 나의 존재감을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 하는 점이다. <기막힌 존재감>의 저자 앤드류 리(Andrew Leigh)가 지적했듯이, 존재감의 최종 목적은 결국 상대방을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고, 나와 주변인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것일 텐데, 어떻게 해야 나라는 존재를 부각시키면서 상대방을 내 편으로 만들 수 있을까, 이게 쉽지 않은 것이다.


안타까운 건 우리 주변에 ‘부정적 존재감’을 보이는 사람이 점점 늘어난다는 점이다. 엊그제 지인들이 만난 자리에서도 부정적인 존재감을 보이는 주변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가 화제에 올랐다. 예를 들면 별것도 아닌 사소한 일에 목소리를 높이고, 자기만 옳다고 우기는 사람들, 걸핏하면 화를 내거나 자기 연민이 지나친 사람, 노상 남 탓하는 사람 등등.


그런데 L씨가 흥미로운 지적을 했다.


“내 생각엔 지나치게 자신을 칭찬하거나 자랑하는 것도 존재감을 낮추는 것 같아요. 지인 중에 만나기만 하면 자기 칭찬을 하는 사람이 있어요. 이런 식이죠. ‘글쎄,동창들이 나만 보면 어찌나 밥을 사라고 하는지.... 내가 제일 잘 나간다나 뭐라나.’ 그 사람은 그럴수록 자기 존재감이 낮아지는 걸 모르는 모양이에요.”


L씨의 말에 모두 한마디씩 거들었다.


“그래, 맞아. 그런 사람 꼭 하나씩 있어.”


“그런 말 들을 때마다 웃을 수도 없고 울 수도 없고, 정말 난감하지 않아?”


물론 칭찬을 받으면 기분이 좋다. 자존감도, 존재감도 높아지는 것 같다. 우리는 뼛속까지 사회적 동물이어서 누가 나를 인정하고 칭찬해줘야 살아 있음을 느끼는 존재니까. 타인의 관심과 인정이 줄어들면 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성이라는 근육도 줄어든다고 한다.


하지만 칭찬은 나를 종종 착각에 빠뜨린다. 누군가로부터 “어머, 정말 친절하세요. 이런 것도 챙기시고.”라는 칭찬을 들었다고 치자. 그가 속으로 ‘바쁜 나한테 이렇게 쓸 데 없는 친절을 베푸시고, 오라 가라 하고... 아주 나를 힘들게 하려고 마음을 잡수셨군요.’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지 어떻게 알겠는가? 그런데도 나는 칭찬을 받았다고 혼자 착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의 칭찬을 받으려고 지나치게 노력하는 건 위험하다. 칭찬이란 어쩌다 한번 받게 되면 점점 더 집착하게 되고, 어느 틈엔가 나도 모르게 중독되는 그런 것이니까. 게다가 칭찬하는 사람들은 나의 아주 작은 일부분을 칭찬하는 것인데, 난 그들이 나라는 사람 전체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것처럼 착각한다. 그러므로 “와 대단하시다.” 라는 남들의 칭찬은 나 자신을 옥죄는 굴레가 될 수도 있다.


external_image


가톨릭 신부이면서 심리학자였던 헨리 나우웬(H. Nouwen)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이다. 나우웬은 하버드대와 예일대에서 심리학과 신학을 접목한 영성 신학이라는 과목을 최초로 가르친 사람이며, 수많은 책을 썼고 명강사로도 유명한 사람이다. 이런 그도 우울증을 앓은 적이 있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삶의 방향을 제시했지만 자신의 힘든 마음을 치유할 방법은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 ‘라르쉬’라는 지적장애인공동체와 인연을 맺게 된다. 첫 대면에서 사람들이 물었다.


“누구세요?”


“저는 하버드대 영성 신학 교수인 헨리 나우웬입니다.”


“하버드대가 뭔데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공부하고 싶어 하는 곳입니다.”


“사람들은 왜 거기에서 공부하고 싶어 하는데요?”


그는 말문이 막혔다고 썼다. 사람들이 왜 하버드에서 공부하고 싶어 하는지 설명할 방법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그날 밤 일기에 이렇게 적었다.


“나는 오늘 이곳에서 낯선 경험을 했다. 전 세계 학생들이 공부하고자 하는 대학에서 최고의 교수로 인정받던 나를 이 사람들은 모르고 있다. 내가 이룬 업적의 가치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모르고 있다. 나를 오직 헨리로 대할 뿐이다. 나는 깨달았다. 그들이 나를 대하는 방식이 바로 신이 인간을 대하는 방식과 가장 유사하다는 것을 말이다.”


남들의 인정과 칭찬을 받을 때 우울증을 앓았던 그는 ‘헨리 나우웬’으로 불리는 순간 마음의 위로를 되찾았다고 한다. 자신의 가치는 화려한 명함이나 경력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그 자체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external_image


2023년의 다이어리를 정리하면서 한 해를 돌아보았다. 힘들고 우울하고 슬픈 적도 많았다. 하지만 일에 관한 한, 스스로 ‘5점 만점의 5점’을 주고 싶은 한 해였다. 물론 큰돈을 벌었거나 대단한 업적을 이뤘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은퇴했지만 성장하고 있다’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어서 행복했고, 특히 지난 가을에 제주도에서 공무원 대상으로 5일 간의 ‘자기 역사 쓰기’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건 2023년 최고의 순간이었다.


앗, 그런데 웬 자기 자랑이지? 칭찬이나 자랑은 내 존재감을 낮추는 것인데....? 하지만 혼잣말로 하는‘ 셀프 칭찬’일 뿐이니 이해해 주시리라고 믿는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 모두에게도 각자 존재감이 빛나는, 그런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이름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 신규 이메일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